top of page

Song Moo Kwan

This is placeholder text. To change this content, double-click on the element and click Change Content.

노병직이 개성시 자남동 관덕정에서 개관했다. 개관 당시 이름은 '공수도 송무관(松武館)'이었다. 이후 명칭을 ‘당수도 송무관’으로 바꾸었다.



송무관은 처음 개성에서 개관했기 때문인지 5대관 중에서 세가 가장 약했다. 이후 한국전쟁으로 개성이 북한에 편입되자 서울과 인천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노병직은 1936년 3월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쇼토칸에서 1929년부터 수련하던 이원국과 함께 근대 공수도의 창시자 후나코시 기친에게 가라테를 배웠다. 그러다 1944년 2월 고향인 개성으로 돌아온 노병직은 취미 삼아 가라테를 가르치다가 마침내 송무관을 열었다. 송무관이 열린 시기에 대해선 왈가왈부가 있는데,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등에 따르면 송도관의 정식 개관은 1946년 5월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노병직 본인은 이원국의 청도관보다 앞선 1944년 3월 11일 개관했으며 송도관이 국내 최초의 당수도 관이라고 말하고 있다. 노병직에 따르면 관할청에 허가원을 제출하여 3월 20일 허가를 받았다고 한다.[11] 정확하게는 1944년 3월에 창설했지만 전쟁통에 교습을 중단했다가[12] 1946년 5월에 재발족했다고 주장한다.[13]



그러나 <동아일보> 1948년 11월 9일자에는 창립 1주년 창립대회를 송도대강당에서 개최한다고 되어 있어 대외적인 송무관의 공식적인 개관은 1947년 11월에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한편으론 청도관의 도(濤) 자가 송도관의 도(濤) 자를 따온 것처럼, 송무관의 송(松) 자는 송도관(쇼토칸)의 송(松) 자를 따온 것인데, 노병직이 송 자를 먼저 선점했다는 점에서 청도관보다 먼저 개관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도 있지만, 애초에 이름 가지고 선후관계를 따지는 것부터가 논리가 빈약한 주장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물증이 없다보니 지금 와서는 구체적으로 검증하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



노병직은 5대관을 개관한 1세대 태권도인들 가운데 유일하게 대한태권도협회 창립 이후까지 활약했다. 1966년에는 1년여 간 대한태권도협회 회장직을 맡았고, 60년대 후반엔 ITF 부총재도 지냈다. 다만 해외 인사들을 상대하는데 자신이 없었는지 일종의 대인기피증도 겪었던 것으로 보인다. 1980년대 중반 미국 미네소타주로 이민을 간 노병직은 그곳에서 타계했다. 송무관 2대 관장인 그의 아들 노희상은 합기도와 북부 소림 무술도 배웠다고 한다.


Our Members

bottom of page